살인적인 폭염 → 열사병, 온열 스트레스가 증가한다. 온도가 증가하면 작물의 이파리가 두꺼워진다.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떨어지고 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북쪽 땅이 따뜻해지지만 비옥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눈이 녹으면 햇빛을 반사시켜서 온도를 떨어뜨리던 (알베도 효과) 기능이 사라지고 온도도 증가하게 된다.
물이 진짜 부족하지는 않다. 정칙적인 문제에 가깝다. 수온이 상승하면 온수 친화적인 박테리아가 증가하게 되며 마실 물이 줄어들게되고 어류 자원도 고갈하게 된다. 바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바다가 더 많은 이산화 탄소를 가두게 되면서 해양이 산성화되고 산호초를 파괴하면서 어류 자원의 균형이 잃게 된다.
대기 오염의 증가는 인구를 감소하게 되지만 태양열을 반사시켜서 상승할 온도를 감소 시키는 역효과도 발생시킨다. 미세 플라스틱의 오염은 물에서도 발생하며 플라스틱 생성시 이산화 탄소를 생성하고 분해되면서 메탄과 에틸렌을 방출하는 오염을 발생시킨다. 북극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옛 질병이 깨어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온도의 변경이 기존 질병이 이동하면서 열대지역의 병이 온대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공존해왔던 박테리아가 돌연 병균으로 변하는 상황도 발생한다.
온도 상승은 개인간의 폭력, 분쟁도 증가시키는데 0.5도 상승시 10~20% 상승하게 된다. 해수면의 상승하게 되면 저지대의 도시가 잠기는 것도 문제지만 방사능 정화가 덜 된 마셜제도도 잠기게 되므로 심각한 오염이 될 수 있다.